우선 h2 란
주로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는 자바 기반의 경량 DBMS
개발 시에는 h2 데베를 사용하여 빠르게 개발하고 실제 운영 시스템에는 좀 더 규모 있는 DBMS( MySQL, 오라클 DB, MS SQL 등) 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1. build.gradl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2. src/main/resources 디렉터리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을 추가한다.
3. spring.datasource.url 을 jdbc:h2:~/local 로 설정했으므로 사용자 홈 디렉터리 아래에 local.mv.db 라는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C:\Users\사용자명 경로에서
새로만들기 → 텍스트 문서 →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 : local.mv.db
파일 형식 : 모든 파일
4. http://localhost:8080/h2-console 주소로 접속한 후 connect 버튼 클릭
5.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설정은 끝이다
'SpringBoot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를 저장하는 방식 (0) | 2025.01.07 |
---|---|
쿠키, 세션, JWT (0) | 2025.01.06 |
MVC 패턴이란? (0) | 2024.05.31 |
루트 URL 사용하기 (0) | 2024.05.31 |
기초단어 및 애너테이션 정리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