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 git | github
팀장1. 리포지터리 만들기 2. invite collaborators 로 팀원 초대하기 3. 기초 세팅하기git initgit add .git commit -m "메시지"git remote add orgin git push origin master  4. develop 브랜치 만들기 (이유 : master 는 유저들이 실제 사용하는 사이트이므로 충돌 가능성이 높은 신규 코드는 따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실제 회사에서는 stage, develop, master 세 개로 운영하기도 한다고 함develop : 연습장 , master : 완벽한 코드git checkout -b developgit pushgit push --set-upstream origin develop 5. master 브랜치 보호하기   6..
· git | github
1. 우선 깃허브에서 Repository 삭제하기   2. IntelliJ에서 터미널에서 Git Bash 를 선택하고 rm -rf .git 입력rm -rf .git       3. Setting -> Version Control -> Directory Mappings -> VCS 를 None 으로 변경
· git | github
clone : 원격 저장소(github)을 내 컴퓨터에 복사해온다. add : 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추가 commit : 스테이지에 올라온 파일들을 가지고 내 컴퓨터에 저장 push : 커밋들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브렌치(branch) : 기능 변경을 하고 싶을 때 생성 및 사용(기존 내용을 유지한 채로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 머지(merge) : 한 브렌치의 내용을 다른 브렌치에 반영 체크아웃(checkout) : 저장소에서 특정 커밋이나 브렌치로 돌아가고 싶을 때 사용
· git | github
1. 초기화 git init 2. 추가할 파일 더하기 git add . . (점)은 모든 파일을 추가한다는 뜻이고 특정 파일만 추가할거면 git add hello.java 이런 식으로 3. 상태 확인(선택 사항) git status 4. 히스토리 만들기 git commit -m "first commit" 5. github 저장소와 내 컴퓨터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bitnaGithub/firstproject.git 이 명령어는 github에서 복사해서 붙여넣어야 함 6. 잘 연결됐는지 확인(선택 사항) git remote -v 7. github에 올리기 git push origin master master 가 아닌 branch에 올릴거면 git p..
· git | github
1. 유저 이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2. 유저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3. 정보 확인하기 git config --list
· git | github
Git 은 쉽게 말하면 버전관리 시스템( Version Control System )이다. 우리가 과제할 때 리눅스과제.pdf 리눅스과제_진짜 최종.pdf 리눅스과제_진짜최종최종.pdf 처럼 기존에 했던 파일에 추가할 것이 있으면 파일을 버전별로 두어 관리하는데 Git 이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GitHub 는 로컬파일을 깃허브 클라우드에 업로드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여러 사용자가 같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한 마디로 Git 은 버전 관리 시스템이고 GitHub 는 Git 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둘 수 있는 사이트이다.
공부 기록장
'git | github'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