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개념정리

서버의 URL 을 요청할 때 도메인명 뒤에 아무런 주소도 덧붙이지 않는 URL 을 루트 URL 이라고 한다.루트 URL 을 요청했을 때 보여지는 페이지를 메인 페이지라고 한다. 즉 http://localhost:8080 을 입력했을 때 http://localhost:8080/question/list 로 이동해야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MainController.java 의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한다. 다음 코드에서 redirect:/question/list 는 /question/list 로 페이지를 리다이렉트하라는 명령이다. 리다이렉트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새로운 URL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h2 란주로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는 자바 기반의 경량 DBMS 개발 시에는 h2 데베를 사용하여 빠르게 개발하고 실제 운영 시스템에는 좀 더 규모 있는 DBMS( MySQL, 오라클 DB, MS SQL 등) 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1. build.gradl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2. src/main/resources 디렉터리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을 추가한다.  3. spring.datasource.url 을 jdbc:h2:~/local 로 설정했으므로 사용자 홈 디렉터리 아래에 local.mv.db 라는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C:\Users\사용자명 경로에서 새로만들기 → 텍스트 문서 → 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 : l..
● WAS(Web Application Service) :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서버에서 무언가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는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스프링 부트에는 톰캣 서버가 내장되어 있다.)  ●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통합 개발 환경(ex. 이클립스, 인텔리제이)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 sql 을 사용하지 않고 자바 문법으로도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도구  ● JPA(Java Persistence API) : 자바에서 ORM 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PI 이다.  ● CRUD : Create, Read, Update, Delete 의 앞글자만 따 만든 단어로 데이터 ..
공부 기록장
'SpringBoot/개념정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