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 Jenkins
1. Jenkins 서버와 3개의 원격서버에서 기본 세팅하기 - Jenkins : 자바 JDK 설치, 개인키와 공개키 생성 - 원격서버 : 자바 JDK 설치, ~/.ssh/authorized_keys 에 공개키 삽입    2. Jenkins 서버에서 Credentials 추가(개인키 삽입하기, 깃허브에 application.properties를 gitignore 처리했으면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추가하기)    3. Jenkins 서버에서 파이프라인 작성아래 스크립트는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도록 함. pipeline { agent any tools { gradle "Gradle" // Ensure the Gradle tool is configured..
· Jenkins
1. 프로젝트에서 application.properties → Open in → Explorer     2. 파일 다운받기      3. Jenkins에서 Credential 추가    Kind - Secret file   Scope - 기본값 그대로   File - 다운받은 파일   ID - 스크립트에서 구별할 수 있는 이름으로 설정   Description - 설명(선택사항)
· Jenkins
1. Kind 를 SSH username with private key 로 설정    2. scope 그대로 두고, ID는 스크립트에 적용한 이름으로 적용(여기서는 deploy_ssh_key 를 말함)       3. username 은 원격 서버에서 cat ~/.ssh/authorized_keys 해서 나온 결과를 적는다. (빨간 박스부분)      4. private key는 cat /var/jenkins_home/.ssh/id_rsa 명령 후 나온 결과를 복붙한다. (sudo docker ps 명령어 후 jenkins의 컨테이너 ID 를 알아내고  sudo docker exec -it /bin/bash로 접속한 후 cat /var/jenkins_home/.ssh/id_rsa 해야함)
· Jenkins
GPT 설명 스왑 메모리(Swap Memory)는 컴퓨터의 가상 메모리 기능 중 하나로, RAM이 부족할 때 사용하는 임시 저장 공간이에요. 쉽게 말해, RAM의 연장선 역할을 하는 하드디스크(또는 SSD)의 일부입니다.쉽게 설명하자면:RAM 역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RAM에 저장되면서 빠르게 처리됩니다.RAM 부족 상황: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작업을 하면 RAM이 부족해질 수 있어요.스왑 등장: 이런 상황에서 운영체제가 디스크의 스왑 영역을 사용해, 당장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RAM에서 스왑으로 옮깁니다.효과: RAM이 부족해도 프로그램이 계속 실행될 수 있어요. 하지만 스왑은 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RAM보다 속도가 훨씬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요.   현..
· Jenkins
Jenkins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개인키와 공개키가 필요하다.이 때 개인키는 열쇠, 공개키는 자물쇠로 비유하면 되는데Jenkins 서버에서는 열쇠를 들고 있고 다른 서버에서는 자물쇠를 가지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따라서 Jenkins 서버에서 개인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키를 생성하고그 공개키를 다른 서버에 삽입하면 된다.   1. Jenkins 인스턴스에서 docker에서의 Jenkins가 들어있는 컨테이너ID를 찾고[jenkins 서버에 해당 명령어 적용]↓sudo docker ps    2.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서 bash 쉘에 접속한다.[jenkins 서버에 해당 명령어 적용]↓sudo docker exec -it /bin/bash    3. 개인키와 공개키 쌍을 생성한다.[je..
· Jenkins
1. 새로운 item 선택    2. 이름 지정 후 Pipeline 선택 후 OK 선택     3. 그러면 아래쪽에 스크립트 작성 부분이 나오는데 gpt의 도움으로 파이프라인 예시 코드를 불러오면 아래 코드와 같다. pipeline { agent any tools { gradle "GRADLE_HOME" // Jenkins에서 설정한 Gradle의 이름 } stages { stage('Checkout') { steps { git url: 'https://github.com/DongHun3946/potHole_detectProject_springBoot', branch: 'main' } ..
· Jenkins
1. 시스템 업데이트sudo apt updatesudo apt upgrade -y  2. Java 설치 (Jenkins는 Java를 필요로 함)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y  3. Docker 설치를 위한 필수 패키지 설치sudo ap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y  4. Docker 공식 GPG 키를 추가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5.  Docker 저장소 추가..
· Jenkins
1. jenkins 설치 후 localhost:8080 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위에서 빨간색 주소로 찾아가면 initialAdminPassword 에 특정 값이 있는데 그 값을 입력하면 된다.    2. Install suggested plugins 선택 (플러그인 선택하고 싶으면 오른쪽 선택하면 됨)    3. 플러그인 설치중    4. 사용자 계정 만들고 save and continue 클릭    5. 설치할 때 설정한 포트 번호로 지정하고 save and finish 클릭(추후 변경가능하다고 함)   6. 설치완료
공부 기록장
'Jenkin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