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
전송매체 :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프로토콜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의 임의의 통신규칙
네트워크 :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인터넷 :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표준화 :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통일된 연동 형식
노드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
호스트 :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물리 계층 :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오류 감지/ 재전송 기능)
네트워크 계층 : 올바른 전송 경로를 선택(혼잡 제어 포함)
전송 계층 :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 기능을 지원
세션 계층 : 대화 개념을 지원하는 상위의 논리적 연결을 지원
표현 계층 : 데이터의 표현 방법
압축 :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
암호화 :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
응용 계층 : 다양한 응용 환경을 지원
프로토콜 : 서로 다른 호스트에 위치한 동일 계층끼리의 통신 규칙
인터페이스 : 같은 호스트에 위치한 상하위 계층 사이의 규칙
서비스 :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인터네트워킹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
게이트웨이 :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리피터 : 물리계층을 지원(신호 증폭)
브리지 :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지원
라우터 :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학교 >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간과제(체크섬 구하기) (0) | 2024.01.03 |
---|---|
중간과제(암호화, 복호화)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