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문제 답
1. 1번
2. 2번
3. 4번
4. 4번
4번 문제에서 h2(k) 는 h1(k) + 5 - (k mod 5 ) 의 결과가 나와야 한다.
오토마타 넘어감
라빈카프는 문자열을 수치화 시켜서 비교하는 방식이다.
앞에 5를 곱하는 이유는 c e b b 의 자릿수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2 는 c를 뜻한다.
두 번째 a2 부터는 a1 즉 전의 계산된 수를 가지고 계산하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진다.
'학교 > 데이터구조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0522) - 허프만코드, 정렬 (0) | 2024.05.22 |
---|---|
16(0520) - kmp알고리즘 , 보이어 무어 알고리즘 (0) | 2024.05.20 |
14(0508) - 검색, 해싱 (0) | 2024.05.08 |
13(0501) - 다익스트라, A* 알고리즘, 8-puzzle (1) | 2024.05.01 |
12(0429) - 크루스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