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 가 4에 위치하고 rear 가 14에 위치하면 데이터는 5 6 7 8 9 10 11 12 13 14 로 총 10개이다.
우리는 front + 1 과 rear 사이에 있는 값만 관심을 가지면 된다.
▲중요. dequeue 함수에서
만약 rear < front 이고 front 가 인덱스 14에 위치 했을 때 temp 배열에 옮기려면 인덱스 15를 temp에 인덱스 0에 위치시킨다.
-> temp[0] = queue[front+1]
다음주 수요일까지
enqueueAt(int index, int item)
dequeueAt(int index)
를 할건데 4월 3일까지 dequeueAt 은 과제고 enqueueAt 은 한번 해볼것
'학교 > 데이터구조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401) - 이진 탐색 트리, 힙 (0) | 2024.04.01 |
---|---|
6(0327) - (0) | 2024.03.27 |
4(0320) - 큐와 원형큐 (0) | 2024.03.20 |
3(0318) - pushAt 함수 (0) | 2024.03.18 |
2(0313) - 동적메모리 (0)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