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Hook 사용해보기(1) - token 만들기
★ token 만드는 이유 : Jenkins 가 Github 레포지터리에 API 호출을 통해서 여러가지 액션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주기 위함
1. 프로필 사진을 클릭 후 Settings 클릭
2. 왼쪽 목록에서 Developer settings 클릭
3. 왼쪽 목록에서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클릭
4. Generate new token(classic) 선택
5. 로그인(본인 인증)
6. Note 에 원하는 이름 설정, Expiration은 실제로 Jenkins에 세팅하는 경우는 만료가 없는 걸 추천,
Webhook 을 하기 위해서는 admin:repo_hook 선택하면 되고
자기가 만약에 private한 레포지터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맨 위에 repo도 선택하면 된다.
7. 토큰 생성하기
8. 토큰을 딴 곳에 저장해두기
9. 다시 자기의 레포지터리로 넘어와서 Settings 클릭
10. 왼쪽 목록에서 Webhooks 선택
11. Add webhook 선택
12. webhook 설정하기
Payload URL : [Jenkins IP주소]:포트번호/github-webhook/
Content type : 요청을 json으로 보낼지 urlencoded로 보낼지 선택( 일반적으로 json을 많이 씀 )
Which events would you like to trigger this webhook? : 어떤 경우에 webhook을 보낼건지 지정하는 것
13. webhook 생성완료